정글에서 온 개발자
1/21 TIL 버전은 어떤 기준으로 올라갈까? 시맨틱 버저닝 본문
x.y.z 형식으로 되어 순서대로 major.minor.patch 를 의미한다.
Major
하위 호환이 안 될 수도 있는 기능의 변경이다. 예를 들어 python2로 작성한 코드는 python3에서 실행이 제대로 안 될 수 있고, Angular18로 작성한 코드는 Angular19에서 안 될 수 있다.
deprecated로 경고하던 기능들이 이 때 사라질 가능성이 있다.
Minor
하위 호환은 가능한 변경이다. minor 버저닝을 잘지키는 정상적인 라이브러리라면 마음놓고 업데이트해도 현재 작성한 코드에 영향이 없다.
Patch
가벼운 버그 수정, 주석 변경 등이 있을 수 있다.
내 생각
현재 진행하는 프로젝트에도 버저닝을 적용하고 , 패치노트도 쓰면 롤백이 필요할 때 많은 참고가 될 것 같다.
그런데 minor가 바뀐 뒤에 수정한 버그는 어떻게 버저닝해야할까?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IL 2/16 sqld 2과목 제 2장 SQL 활용 (0) | 2025.02.16 |
---|---|
TIL 2/4 Nginx,Apache없이 Certbot 적용하기 (with Golang) (0) | 2025.02.05 |
1/20 TIL C++ emplace_back() (0) | 2025.01.20 |
1/20 TIL 이 쿼리가 왜 빨라졌을까? (0) | 2025.01.20 |
Go 웹 API swagger로 문서화 패키지 고르기 (0) | 2025.01.20 |